당진에도 태실이 있다?!
 
순성 초등학교에서 발견한
신기한 역사 이야기!

 

사진 1) 순성 초등학교의 전경
 

사진 2) 순성 초등학교 교정에 있는 야외 석조물

당진 순성 초등학교 교정을 걷다 보면 야외 석조물이 있는 곳에 웬 비석이 하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비석 앞에 있는 안내문을 통해 해당 비석이 아지옹주 태실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태실(胎室)이란 탯줄을 봉안한 장소라는 의미인데요. 조선 시대 왕실에서는 왕자나 왕녀가 태어날 경우 전국의 길지에 태실을 조성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풍수지리의 영향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사진 3) 화유옹주 태실비

재미있는 점은 이러한 태실이 있는 곳의 지명은 태실이 있어 태봉산 혹은 태봉리 등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태실이 당진에도 있었다는 것을 바로 순성 초등학교의 교정에서 만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아지옹주 태실비는 누구의 태실일까요? 우선 아지(阿只)는 아기를 의미하는데요. 영상 자료 같은 것을 보면 예전에 왕자나 왕녀를 보고 아기씨 혹은 애기씨라고 부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아기씨 옹주의 태실이라는 의미입니다.

 

사진 4) 화유옹주 태실비의 전면
 

사진 5) 화유옹주 태실비의 후면
 

사진 6) 연대를 파악할 수 있는 건륭오년(乾隆五年)
 

사진 7)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 있는 화유옹주와 황인점의 묘

아지옹주가 누구인지 알려면 태실비를 주목해봐야 하는데요. 다행히 태실비에는 출생일과 태실 조성일이 새겨져 있습니다.
여기서 연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문구가 바로 건륭오년(乾隆五年)입니다. 건륭 5년을 환산해보면 1740년(영조 16년)으로, 이해에 태어난 왕녀라면 영조와 귀인 조씨 소생의 화유옹주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조의 총애를 받았던 화유옹주는 황인점(창성위, 昌城尉)과 혼인을 했는데요. 두 사람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습니다. 현재 경기도 부천시 여월동에는 화유옹주의 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진 8) 화유옹주의 태실이 있던 태봉산의 원경
 

사진 9) 산 정상에 남아 있는 태실의 석물
 

사진 10) 태함의 함신
 

사진 11) 태실비를 꽂은 비좌

화유옹주의 태실은 순성면 성북리에 있는 태봉산의 정상에 있었는데요. 태봉 관련 지명은 옛 지도에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화유옹주의 태실은 일제강점기 당시 현 서삼릉 경내로 옮겨지면서, 지금은 산 정상에 태실 관련 석물의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이 때문에 화유옹주의 태실은 고양 서삼릉 경내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순성 초등학교에 있는 태실비는 태봉산 인근에 방치되던 것을 옮겨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 12) 서삼릉으로 옮겨진 화유옹주의 태실, 전면에 영조왕녀태실이 새겨져 있다.

지명과 비석 속에 숨겨진 화유옹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해볼 만한데요.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당진 화유옹주의 태실, 혹 순성면 일대를 지나신다면 순성 초등학교 교정에 있는 태실비를 한번 관심 있게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당진 화유옹주 태실비
주소: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봉소리 59, 순성 초등학교
비고: 주차장, 화장실 있음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