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당진시, 집중호우 피해 복구 총력
지난 18일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지역 내 학교와 당진전통시장 등이 물에 잠기는 등
극심한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당진시는 집중호우 피해로 인한 수해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18일 오전 시간당 최고 81mm까지 쏟아진 기습적인 폭우로 인해 당진 일부 도로와 농경지, 학교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침수됐습니다.
특히, 당진전통시장과 어시장 일대가 물에 잠기면서 시장 상인들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시는 직원 500여명을 비상 소집해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우회로 안내하는 등
주민 안전과 신속한 복구에 나섰으며 양수기와 배수펌프 등을 동원해 당진천 인근 당진전통시장과 어시장 등
의 배수작업을 실시했습니다. 다행히 다음날 비가 그치면서
시는 이른 아침부터 공무원과 자원봉사자 170명을 투입해 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옮기고 쓰레기 수거에
나서는 등 긴급복구 작업을 실시했습니다.
한편 시는 이번과 같은 기습폭우에 대비해 기상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수해 피해를 입은 상인들과
주민들이 빠른 시일내에 일상으로 복귀 할 수 있도록 수해복구에 행정력을 집중 할 방침입니다.
2.당진시, 삽교호 관광지 보행 환경 개선
당진시가 삽교호 관광지 보행 환경 개선 사업을 완료했습니다.
삽교호 관광지는 그동안 관광지 내 교통체증과 위험한 보행환경으로 인해 크고 작은 민원이 발생해 왔습니다.
이에 따라 시는 양방향 통행이었던 관광지 내부 도로를 일방통행으로 변경하고 인도를 확장해
관광지를 찾는 관광객들의 교통 불편 해소와 보행환경이 개선됐습니다.
한편, 삽교호 관광지는 지난해 충남 내비게이션 검색 순위 1위를 기록했으며 연간 약 5백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등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3.당진시,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단 먹거리 제품 개발
당진시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단이 ‘로컬·청년 이음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먹거리 제품 시연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날 선보인 제품은 청년 액션그룹 해나루 쌀과 사과, 황토 고구마 등을 활용해 만든 해쌀 티그레와
고구마 식혜 스무디, 당찬미모 쉬폰산도 등 간편식과 디저트, 음료 5가집니다.
또한 농부가 직접 생산한 농산물과 디자이너의 제작물이 함께 전시돼 지역 청년들은 상품을 홍보했습니다.
한편, 이번 개발된 제품은 향후 보완 과정을 거쳐 프로젝트 참여 소상공인 매장에서 오는 12월까지
판매할 예정입니다.
4.당진시, 2024 당진 문화유산 합덕제 야행
사계절이 아름다운 천년 방죽 합덕제 일원에서 오는 8월 15부터 17일까지 3일간
‘2024 당진 문화유산 야행’이 펼쳐집니다.
‘문화유산 야행’은 지역의 특색 있는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한 관람·체험 프로그램으로 주요 프로그램은
‘밤에 비춰보는 문화유산’ 야경과 ‘밤에 걷는 거리’ 야로, ‘밤에 보는 공연 이야기’ 야설 등
8가지 테마로 열립니다. 특히, 야경은 합덕제 산책로를 따라 다양한 경관조명이 설치되며
합덕 농촌테마공원 내 야경 돔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으로 여름밤 지역민과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 거리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5.당진시, 한육우 FTA 피해 보전직불금 신청 접수
당진시가 자유무역협정 이른바 FTA 이행으로 가격 하락 피해를 입은 축산농가를 위해 피해 보전 직불금을
급합니다.
직불금 지급 대상은 기준 협정 발효일 기준 2015년 1월 1일 이전부터 해당 품목을 생산한 농업인으로
2022년 연말 이전, 축산업 허가·등록 절차를 마친 후 2023년 한 해 동안 한우·육우·송아지를 직접 생산·판매한
업인과 농업법인입니다.
지급단가는 마리당 한우 5만 3119원, 육우 1만 7242원, 한우 송아지 10만 4450원 이며,
지원을 희망하는 농가는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 신청서와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6.당진시, 충남도 최초 다자녀 세대 자동차 종합검사비 지원
당진시가 충남도 최초로 다자녀 세대에 자동차 종합검사비를 최대 3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18세 이하 2자녀 이상의 다자녀 세대로 2024년 7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관내 공업사에서
종합검사 통과한 비영업용 승용차 1대에 한합니다.
신청 및 접수는 신청서류를 구비해 다자녀 세대 주민등록 소재지 읍면동행정복지센터에
올해 연말까지 신청하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