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당진시청 행정 포털 웹사이트 입니다.

실시간으로 날씨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오늘의 당진 안전날씨

TODAY 6.21 금
당진1동
맑음 26.5 초미세먼지보통 미세먼지보통
  • 강우량0.0mm
  • 적설량0.0cm
  • 오존0.071ppm

※ 데이터는 실시간 관측된 자료이며 측정소 현지 사정이나 데이터의 수신 상태에 따라 미수신 될 수 있습니다.
※ 당진1동, 송산면, 합덕읍을 클릭하시면 해당 지역의 날씨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SCROLL DOWN

신속한 신고 전화안전한 당진을 만듭니다. 빠르게 대응하여 시민의 행복을 지키겠습니다.

  • 119안전신고센터 국번없이 119
  • 재난/재해신고센터 041-350-4980

사고 행동요령

교통사고교통사고시 상황판단

교통사고 상황에서 구조대원의 의무는 상황을 판단하고 부상자에게 접근하여 신속한 조치는 물론, 피해자를 구출하여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상황판단시 고려사항 관련된 차량의 수와 종류, 손상정도 : 작업을 부여 받은 대원과 장비들이 현장 상황을 다루는데 있어 필요한 것이나 할 수 있는 작업범위에 관한 의견을 제공해 준다.

자세히보기
전기사고전기사고시 상황판단

대피 명령시 전기설비 조치사항에서 폭우로 인한 가옥침수가 예상될 경우에는 제일 먼저 누전차단기를 차단하거나 인입개폐기 또는 안전기(두꺼비집)를 열어 전기의 공급을 끊어야 합니다.

자세히보기
가스사고가스사고시 상황판단

가스사고 상황에서 가스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냄새를 맡아 가스가 누출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점화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가스가 누출되면 절대 당황하지 말고 침착히 응급 조치하면 폭발사고를 막을 수 있다. 먼저 콕크와 중간밸브, 용기밸브를 잠그고 창문과 출입문 등을 활짝 열어 환기를 시켜야 한다.

자세히보기
감전사고감전사고시 상황판단

전기기기 및 배선의 절연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을 노출시키지 맙시다. 전기기기는 땅이나 수도관과 전선으로 연결(접지)시켜야 합니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감전,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합시다. 전기기기의 스위치 조작은 아무나 함부로 하지 않도록 합시다.

자세히보기
승강기사고승강기사고시 상황판단

평소에 제대로 운행되던 승강기가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고장이 발생해 카 안에 갇히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당황하고 조급한 마음으로 카 문을 열고 탈출을 시도하다가 승강로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이용 중이던 승강기가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고장을 일으켰을 때는 절대로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카 내에 부착되어 있는 인터폰으로 관리사무실 등에 알려 전문가로부터 안전한 구조를 받아야 합니다.

자세히보기
응급처치1성인 심폐소생술

심정지 확인 및 119신고(자동제세동기 요청) 후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여쭤보세요. 주변 사람에게 큰소리로 119에 전화해 달라고 부탁하고 자동제세동기 요청, 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직접 119에 신고 합시다.

자세히보기
응급처치2자동제세동기 사용법

심폐소생술 시행 중에 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지체없이 적용합시다. 자동제세동기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뒤 전원버튼을 누르세요. 두개의 패드 부착. "분석 중..."이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 손을 떼세요.

자세히보기
응급처치3영유아 심폐소생술

기도열기(입 안의 이물 제거)를 위해 입안의 이물질 여부를 확인하여, 이물질이 확실하게 보이면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쓸어냅니다. 흉골 중앙 바로 아래의 두 손가락을 위치하여 눌러주세요.(※ [주의사항] 명치를 누르지 않도록 합시다.)

자세히보기
응급처치4기도폐쇄 시 응급처치

기도가 완전히 폐쇄된 경우에는 3~4분 이내 의식을 잃게 됩니다. 4~6분이 경과하면 뇌세포의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생명이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 내에 응급처치를 시행합니다.

자세히보기
응급처치5생활 응급처치

압박 지혈, 쇼크(Shock), 골절 및 염좌, 화상, 뇌졸중, 열 손상, 시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안내합니다.

자세히보기
수상안전사고1위험시 행동요령

많은 수의 사람들이 물과 관련된 스포츠와 오락활동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물에 빠져 생명을 잃는 숫자가 발생할 수 있다. 하천, 강변, 우물, 저수지, 수체구덩이, 잠깐 고인 물에서도 익사 사고가 발생하며 익사자의 50%가 수영 미숙으로 인하여 사망한다. 자기 자신을 구명할 수 있는 충분한 수영능력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다. 감시나 보호를 받지 않는 하천이나 강에서 익사사고의 약 90%가 발생한다.

자세히보기
수상안전사고2구조시 행동요령

손이 닿는 위치에 조난자가 있을 경우 옆사람을 붙잡는 것을 피하고 언제나 물가의 단단한 물체를 잡고 뻗은 팔로 조난자의 팔 목을 움켜잡고 천천히 잡아당긴다. 셔츠, 수건, 옷 나뭇가지, 혹은 막대 기둥과 같은 물건들을 사용하여 팔을 뻗어 미치는 거리를 연장시켜서 조난자가 뻗혀진 물건의 한쪽 끝을 붙잡게 하여 천천히 안전지대로 끌어들인다.

자세히보기
산악사고산악사고시 상황판단

더 떨어지거나 또 다른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잘 살피고 움직인다. 떨어진 사람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다친 사람이 매달려 있는 로프를 든든한 확보 지점에 잠깐 묶어 두거나 확실하게 묶는다.

자세히보기
해외여행사고해외여행사고시 상황판단

여행지역이 외교통상부 안전해외여행사이트(www.0404.go.kr)에 나와 있는 위험지역에 해당되는지 사전에 알아보시고 해당되면 여행지를 변경합시다. 불가피하게 여행을 해야 할 경우라면, 국내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여행사실을 알리고, 현지에 도착해서는 우리 공관에도 신고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합시다.

자세히보기
음식물사고음식물사고시 상황판단

야채·식육·어패류 등 식재료는 신선한 것으로 구입합시다. 조리 전·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칼과 도마는 생선·야채·육류 전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토록 하고 항상 청결을 유지합시다.

자세히보기

재난시 시민행동요령

재난시, 알아둬야할 행동요령!

지진/해일 행동요령 대설/한파 행동요령 폭염/가뭄 행동요령 황사/적조 행동요령 화재/산불 행동요령

관련기관 배너

국민안전처 로고 기상청 로고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로고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로고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로고 한국환경보전원 국민안전처 로고 기상청 로고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로고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로고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로고 한국환경보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