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시작

표준적인 대상자 선정 절차

표준적인 대상자 선정 절차
표준적인 대상자 선정 절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주체, 내용으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 분 주 체 내 용
신청 및 접수
(읍ㆍ면ㆍ동)
본인ㆍ부모 또는
그 밖의 관계인, 담당공무원
신청서 및 이용자 유의사항안내 동의서 등 작성 제출
상담 및 욕구조사
(읍ㆍ면ㆍ동)
읍ㆍ면ㆍ동 담당자 신청가구의 여건, 이용자 선정 요건 부합 여부 등 확인
소득 조사
(시ㆍ군ㆍ구)
시·군·구 담당자
  • 행복e음을 통한 선정
    • 예산 상황 등 우선 순위를 감안하여 선정
이용자 선정
(시ㆍ군ㆍ구)
시·군·구 담당자
  • 사회보장정보원에 선정결과전송(매월 27일 18:00까지)대기자 관리
    • 선정요건에는 부합하나 예산부족에 따른 부통지
통 지
(시ㆍ군ㆍ구, 읍ㆍ면ㆍ동)
시·군·구 담당자 신청자에 선정결과 통지

비고

  • 신청 및 접수(읍·면·동) : 서식 읍면동 사무소 비치
  • 상담 및 욕구조사(읍·면·동)
  • 소득, 연령, 가구원
  • 사업별 일반 요건 확인
  • 이용자 선정(시·군·구) : 예산상황을 감안,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
  • 통지(시·군·구, 읍·면·동) : 서면 통지

바우처 카드 발급 절차

바우처 카드 발급 절차
바우처 카드 발급 절차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업무절차, 업무주체, 처리내용으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업무절차 업무주체 처리내용
신청서 작성ㆍ제출 신청인 ‘바우처 카드 발급 및 개인정보제공ㆍ활용 동의서’작성ㆍ제출
(신청인 → 읍ㆍ면ㆍ동)
신청서 입력 (행복e음) 읍ㆍ면ㆍ동 바우처 카드 발급 신청 정보 입력
(읍·면·동 주민센터 주소 및 휴대전화 필수 입력)
카드 발급 정보 전송 (행복e음) 시ㆍ군ㆍ구 바우처 카드 발급 신청 정보 전송
(시ㆍ군ㆍ구 → 사회보장정보원)
카드 제작ㆍ배송 (전자바우처시스템) 사회보장정보원(우체국) 카드 제작 후 월 8회 배송 (매주 월요일, 목요일)
※ 수취인 부재시 대상자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로 반송처리
카드 수령 및 결제 서비스 대상자 바우처 카드 수령

구별·소득수준별 건강보험료 조견표

기준중위소득 140%

중위소득 140%이하 가구 규모별 건강보험료 수준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으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구원 수 소득기준(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1인 3,349,000 118,821 46,072
2인 5,506,000 196,177 133,680 198,905
3인 7,036,000 252,203 196,416 256,716
4인 8,537,000 311,031 269,976 320,322
5인 9,952,000 354,964 320,449 369,517
6인 11,291,000 407,092 382,076 431,294
7인 12,584,000 461,699 447,279 506,004
8인 13,877,000 506,004 496,008 552,230
9인 15,170,000 552,230 545,971 599,810
10인 16,464,000 599,810 591,277 673,463

기준중위소득 150%

중위소득 150%이하 가구 규모별 건강보험료 수준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으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구원 수 소득기준(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1인 3,589,000 127,230 58,386
2인 5,899,000 210,208 143,648 213,002
3인 7,539,000 271,459 221,206 277,028
4인 9,147,000 330,765 292,298 342,861
5인 10,663,000 386,684 357,963 407,092
6인 12,098,000 431,294 411,250 461,699
7인 13,483,000 506,004 496,008 552,230
8인 14,869,000 552,230 545,970 599,810
9인 16,254,000 599,810 591,277 673,463
10인 17,639,000 673,463 654,281 792,926

기준중위소득 160%

중위소득 160%이하 가구 규모별 건강보험료 수준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으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구원 수 소득기준(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1인 3,828,000 136,981 66,857
2인 6,293,000 225,915 162,782 229,454
3인 8,041,000 288,617 243,019 295,134
4인 9,757,000 354,964 320,449 369,517
5인 11,374,000 407,092 382,076 431,294
6인 12,904,000 461,699 447,279 506,004
7인 14,382,000 552,230 545,970 599,810
8인 15,860,000 599,810 591,277 673,463
9인 17,338,000 673,463 654,281 792,926
10인 18,815,000 673,463 654,281 792,926

사업별 서비스 내용 및 기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각 사업별 세부내역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각 사업별 세부내역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각 사업별 세부내역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세부사업명, 서비스내용, 자격기준, 추가제출서류으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부 사업명 서비스 내용 자격기준 추가제출 서류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011216)
심리상담, 아동조기개입서비스
(놀이,언어,인지,미술)
  • 중위소득 160%이하 가정의 18세 이하 아동·청소년
  • 정부지원금 : 146,000원~182,000원
  • 의사 진단서 및 소견서
  • 임상심리사소견서
  • 청소년상담사 소견서 등
아동청소년
비전형성서비스
(130716)
자기발견·표현· 자존감 회복 등
자기주도력 증진서비스
  • 중위소득 140%이하 가정의 7세~18세 아동
  • 정부지원금 : 132,000원~146,000원
해당없음
정신건강토탈
케어서비스
(090216)
증상관리,일상생활지원,사회적응 강화
  • 소득·연령 기준 없음
  • 정부지원금 : 180,000원
  • 정신장애인 등록증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소견서
  • 진단서
장애인보조기기
렌탈서비스
(070101)
지체 및 뇌병변, 척수장애 아동 등 맞춤형 보조기기 대여
  • 만24세 미만의 장애판정을 받은 지체 및 뇌병변 장애 아동
  • 정부지원금 : 84,000원~108,000원
  • 장애인등록증(지체 또는 뇌병변, 중복 장애)
  • 의사진단서(척수장애 또는 근위축증)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080916)
안마, 마사지, 지압 서비스
  • 중위소득 140%이하 또는 기초노령연금수급자
  • 정부지원금 : 151,200원
  • 근골격계, 신경계, 순환계 질환(질병분류코드 G,M,I 및 R81, E10~15)이 명시된 의사 진단서
  • 소견서
셀프자세
교정서비스
(160216)
개인별 전신체형검사 실시 맞춤형 셀프자세교정서비스 제공, 보행교정, 체형불균형 해소
  • 중위소득 150%이하 가정의 7세~59세
  • 정부지원금 : 140,000원~180,000원
  • 전신체형검사지(체형지수 21이상인 자)
유아성장
관리서비스
(160316)
성장및신체발달검사에따라맞춤형 성장관리서비스제공
  • 체형발달수중활동프로그램(월3회)
    • 수중신체활동 : 물적응,도전활동중심 수영기능교육
    • 수중 감각신체놀이 : 수중에서 교구 신체활동
  • 사회성,정서발달 대/소근육 활동 프로그램(월2회)
    • 신체성장리듬운동, 밸런스운동
    • 그룹형 협동운동
    • 일반 감각신체놀이
    • 유아레크레이션
  • 중위소득 150%이하 가정의 2세~7세
  • 정부지원금 120,000원~135,000원
  • 영유아발달검사지
  • 체질량지수 90%이하 또는 120% 이상인 유아 체질량지수 검사지
  • 키 백분율 50% 이하 체중 백분율 50% 이상
  • 의사소견서(3개월이내발급)
문의처

당진시청 ☎ 041)350-3645 ※ 사업별 서비스 내용 및 기준은 간략한 내용이오니, 자세한 내용은 전화문의 바랍니다.

  • 담당부서 : 복지정책팀
  • 연락처 : 041-350-3645
  • 최종수정일 : 2025-01-21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