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소개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경관으로 내륙의 제주도라 불리는 신리성지는 조선시대 천주교 박해 시기 가장 큰 신자 공동체를 형성했던 장소로 원래의 위치와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박해 시대의 주교관인 다블뤼 주교관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다블뤼 주교는 1845년 10월 김대건 신부와 함께 강경에 첫 걸음을 내디딘 후 1866년 갈매못에서 순교하기까지 21년 동안 조선에서 활동하였습니다. 그는 내포지방 천주교 유력자였던 손자선 토마스의 집에 은거하면서 황석두 루카의 도움을 받아 천주교 서적을 저술하거나 한글로 번역하였습니다. 그리고 조선 천주교사와 순교자들의 행적을 수집하였습니다. 이 자료들은 훗날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의 기초가 되었고, 103위 성인을 탄생시키는데도 결정적으로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신리는 천주교 탄압기의 가장 중요한 교우촌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조선에서 가장 큰 교우 마을이었으며, 선교사들의 비밀 입국처이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한국의 천주교 전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이곳은 조선의 카타콤바(로마시대 비밀교회)로 불리기도 합니다. 다블뤼 주교가 신리에서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발달된 삽교천 수계를 통해 중국에 있는 파리외방전교회와 긴밀히 연결될 수 있었던 점과 내포지방의 문화적 개방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리성지 내 순교미술관은 로마 지하무덤인 카타콤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건축한 우리나라 최초의 성화미술관으로 다섯 성인의 영정화와 순교기록화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순교미술관 밖에는 다섯 성인의 삶을 기억하고 기도할 수 있는 작은 경당들이 있는 푸른 잔디밭의 순교역사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성지 내에 있던 옛 양곡 창고를 개조하여 쉼터, 미술관, 카페로 이용 가능한 ‘치타 누오바’라는 문화쉼터가 있습니다. 성지순례로 유명한 당진에서 신리성지는 마지막 여정으로 되어있기 떄문에 치타 누오바에서 쉼과 함께 성지순례의 마무리를 지을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신리성지의 황금들판을 감상하며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습니다.
이용안내
교통안내
서해안고속도로 이용시 : 송악IC → 거산리 → 합덕읍 → 신리
[대전에서]
면천 IC → 합덕읍 → 신리
주변정보
- 담당부서 : 관광마케팅팀
- 연락처 : 041-350-3893
- 최종수정일 : 202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