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암에관한정보
자궁경부암이란?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생식기 암으로 한국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중 3위(0기 암포함시 1위)이며, 암으로 인한 사망 중 5위를 차지하고 있음.
자궁경부암의 빈도
자궁경부암의 빈도
세 계 | 한 국 |
---|---|
여성암 중 2위 |
|
평균 발생 연령
- 0기암 : 35세 전후
- 침윤성 자궁경부암 : 48세 전후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위험인자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 조기성관계(17세이전)
- 여러명의 성교 대상자
- 배우자의 성교 대상자가 여러명인 경우
- 흡연
-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 면역 억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자궁경부암의 증상
초기에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이 없으며,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대부분 진행된 상태이다. 그러므로, 선별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성교후 질 출혈
- 질 분비물
- 골반통
- 요통
- 체중감소
자궁경부암의 선별검사
- 자궁경부 세포검사
-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
- 자궁경부 촬영진
자궁경부암의 진단
이학적 검사
- 질확대경 조준하 자궁경부 생검
- 원추형생검, 환상투열요법
조직검사
내진, 림프절 촉진, 직장질 검사
검사
- 경정맥요로 촬영술
- 흉부 X선 검사
- 바륨관장, 방광경, 직장경
선택적 검사
- 전산화단층촬영
- 자기공명영상
- 양전 자단층촬영
- 초음파촬영
질 확대경 검사기구 및 소견
자궁경부암의 병기
- 0기 자궁경부 상피내암
- 1기 자궁경부에 국한된 경우
- 2기 병변이 자궁경부를 벗어났으나 골반벽에는 도달하지 않은 상태
- 3기 병변이 골반벽에 도달하거나 질 하부 1/3까지 침범한 상태
- 4기 병면이 진성골반을 벗어나거나 방광 또는 직장 점막을 침범한 경우
자궁경부암의 치료
상피내 병변의 치료
- 동결요법, 레이저절제술, 전기응고요법
- 원추절제술, 환상투열요법
- 자궁적출술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치료
병기, 환자의 나이, 전신상태 등에 따라 치료방법 결정
- 수술적치료 : 자궁적출술
- 화학방사선 동시
- 방사선치료
- 항암화학요법
- 면역치료
재발성 자궁경부암의 치료
초기치료, 재발부위, 전신상태등에 따라 치료방법 결정
- 수술 방사선 병합 치료(CORT), 골반내용제거술
- 방사선치료
- 항암화학요법
- 보존적 치료
자궁경부암의 치료 성적
자궁경부암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거의 모든 환자에서 완치가 가능하므로 조기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가 가장 중요함.
- 0기95%
- 1기80~90%
- 2기60~80%
- 3기30~40%
- 4기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