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 당진시 인구 17만 돌파! 1973년 이후 50년 만에 달성! 17만을 넘어, 20만, 30만 자족도시를 향하여 정주여건 개선으로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갑니다. 자세히보기
본문 시작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 기준년도 :2018년
  • 계획범위 :(시간적) 2018~2035, (공간적) 당진시 전역
  • 내 용 :지속가능발전 관련 인식 현황,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비전, 목표 및 전략이행계획 수립원칙 및 작성 가이드라인지속가능발전 지표 및 추진체계
pdf 파일 다운로드 당진시 2035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당진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전략

당진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전략

당진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전략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UN SDGs, 당진시 SDGs, 당진시 전략으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UN SDGs 당진시 SDGs 당진시 전략
빈곤근절

빈곤근절

G1 절대빈곤층이 없는 당진
  • 1.1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 완화
  • 1.2 취약계층 경제적 자립기반 형성
  • 1.3 노인빈곤 해소(은퇴빈곤층 자립기반 구축)
기아해결

기아해결

G2 전략산업으로서의 농업기반 강화
  • 2.1 농업특화
  • 2.2 친환경 웰빙 농산물 생산기반 구축
  • 2.3 3농혁신
보건웰빙

보건웰빙

G3 건강한 삶 보장
  • 3.1 생활체육 여건 조성
  • 3.2 교통사고율 전국평균 이하로 줄이기
  • 3.3 호흡기질환(질병발생률) 절반으로 줄이기
  • 3.4 안전한 먹거리 보급
교육

교육

G4 맞춤형 교육도시
  • 4.1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확충
  • 4.2 교육 만족도 10% 향상
  • 4.3 문화 불평등 완화
  • 4.4 참여형 문화공동체 구축
성평등

성평등

G5 실질적인 성평등 달성
  • 5.1 의사결정과정 여성참여 확대
  • 5.2 돌봄 및 보육의 평등과 지원체계 강화
  • 5.3 아동, 여성의 안전을 보장하는 사회기반 조성
물과위생

물과위생

G6 물 걱정 없는 도시
  • 6.1 물순환 개선
  • 6.2 상수도 관리체계 개선
  • 6.3 수자원 보호
에너지

에너지

G7 에너지 정의 실현
  • 7.1 친환경 에너지 전환
  • 7.2 에너지 수요관리
  • 7.3 대안적 송전체계 마련
일자리경제

일자리경제

G8 누구나 일할 수 있는 경제환경 조성
  • 8.1 친환경산업 육성
  • 8.2 일자리 양극화 해소
  • 8.3 지역 내 순환경제 구축
산업혁신

산업혁신

G9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
  • 9.1 4차산업 기술 육성
  • 9.2 6차산업 활성화
  • 9.3 친환경산업 기반 구축
불평등완화

불평등완화

G10 불평등 없는 지역공동체 구현
  • 10.1 지역권역별 균형발전
  • 10.2 노동 불평등 완화
  • 10.3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제도 강화
도시공동체

도시공동체

G11 사람 중심의 도시공간 조성
  • 11.1 도시공원 확대
  • 11.2 지역문화자원과 연계한 도시재생 활성화
  • 11.3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
  • 11.4 주거복지 강화
소비생산

소비생산

G12 지속가능한 지역 소비체계 구축
  • 12.1 로컬푸드 유통체계 확립
  • 12.2 자원순환 활성화
  • 12.3 공유경제 확대
기후행동

기후행동

G13 국가목표 수준 온실가스 감축
  • 13.1 이산화탄소 배출 획기적 감축
  • 13.2 신재생에너지 확대
  • 13.3 기후재난 복원력 증대
  • 13.4 농어업 기후변화 적응대책
해양생태계

해양생태계

G14 해양생태계 건강성 유지
  • 14.1 해양 생물자원 보호
  • 14.2 해양환경 개선
  • 14.3 해양 보전지역 확대
육상생태계

육상생태계

G15 친환경도시를 위한 생물다양성 확보
  • 15.1 도심지역 생태공간 확보
  • 15.2 수생태계 복원
  • 15.3 토양의 건강성 확보
평화정의제도

평화정의제도

G16 시민 누구나 존중받는 도시
  • 16.1 인권도시 만들기
  • 16.2 지역사회의 투명성 강화
  • 16.3 안전한 도시기반 구축
파트너십

파트너십

G1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 17.1 지역산업과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협력체계 구축
  • 17.2 참여적 의사결정 확대
  • 17.3 갈등관리
  • 17.4 글로벌 네트워크 참여
  • 17.5 지구의제 시민교육 확대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지표(대표지표)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지표(대표지표)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지표(대표지표)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목표, 대표지표, 관리부서로 나뉘어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목표 대표지표 관리부서
G1 절대빈곤층이 없는 당진 1.1. 사회복지비 비율 사회복지과
G2 전략산업으로서의 농업기반강화 2.3. 농업인 월급제 약정 농가 수 농업정책과
G3 건강한 삶 보장 3.4. 아동 환경성 질환 유병률 건강증진과
G4 맞춤형 교육도시 4.3. 문화예술공연 및 전시개최 횟수와 관람자 수 문화관광과
G5 실질적인 성평등 달성 5.2. 성별영향평가 수행정책 비율 여성가족과
G6 물걱정 없는 도시 6.2. 빗물활용도 수도과
6.7. 하천오염도(BOD) 환경정책과
G7 에너지 정의 실현 7.2.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경제에너지과
G8 누구나 일할 수 있는 경제환경 조성 8.4. 사회적경제 기업 수, 고용인원 수 기업지원과, 사회복지과
G9 미래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 9.4. 농촌체험프로그램 이용자수 지도개발과
G10 불평등 없는 지역공동체 구현 10.1. 장애인 고용률 경로장애인과, 경제에너지과
G11 사람 중심의 도시공간 조성 11.3. 1인당 도시공원 면적 산림녹지과
G12 지속가능한 지역 소비체계 구축 12.1. 지속가능한 공공물품 구매 비율 기업지원과, 경로장애인과, 여성가족과
G13 국가목표 수준 온실가스 감축 13.2. 미세먼지(PM10) 기준 초과일수 환경정책과
G14 해양생태계 건강성 유지 14.2. 연안 수질오염도 (COD)(미래지표) 항만수산과
14.4. 연안 어장 환경개선 면적 비율 항만수산과
G15 친환경도시를 위한 생물다양성 확보 15.2. 하천생태계 건강성(미래지표) 환경정책과
G16 시민 누구나 존중받는 도시 16.2. 공공기관청렴도 감사법무담당관
G1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17.1. 민원만족도 민원정보과
17.5. 참여예산 비율 기획예산담당관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정책 추진 과정

  • 2015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발족/지원의제21 → 당진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설치 운영조례 제정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발족 및 1기 위원구성 (5개분과 | 110명)
    • 분과별 지속가능발전 의제 발굴 등 운영 활성화
  • 2016지속가능발전 지역 여건 분석 with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 지속가능발전 로드맵 | 추진기반 및 체계 마련, 추진체계 운영
    • 지속가능발전 제도 구축 | 전담조직 구성,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기본조례 제정 등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역할 및 전망
      • 주민자치위와 연계노력, 시의회 공조 유지 등
    • 지속가능발전 추진역량 강화 교육 (공무원, 시민, 기업체 대상)
  • 2017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수립 17개 목표, 57개 전략 | 88개 지표
    • UN지속가능발전목표와 직접 연계한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비전 선포식(당진시, 시의회, 지속협)
    •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 수립
  • 2018지속가능발전 이행체계 본격 가동 전담조직 구성 | 협력사업 추진
    • 지속가능발전지표 중장기 목표 설정(부서 및 거버넌스 목표, 지표현황 조사)
    • 지속가능발전 역량강화 교육 (지역전문가 양성 및 공무원 교육)
    • 시정 업무계획과 연계(`19년도 시책구상 및 주요업무계획 대상)
    • 지속가능발전 이행 전담조직 구성
    • 이행계획 추진상황 모니터링 (추진상황 및 성과지표 현황)
  • 2019지속가능발전 이행체계 고도화 추진 지속가능성제고 중점과제와 성과지표 중심 이행체계 개편 종합성과평가시스템 반영
    • 지속가능발전 간부공무원 평가시행
    •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 고도화 추진
      • 54개 부서, 108개 중점과제
      • 112개 단위사업, 124개 성과지표 작성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 수립 과정

  • 수립절차
  • 추진내용
  • 비전 및 전략과 연계 기존사업사전검토 / 이행계획 구성 체계 확정

    2017.7~8

    • 당진 지속가능발전 비전, 목표와 부합되는 핵심사업, 중점관리사업 등 검토
    • 이행계획 구성, 체계 개발 및 확정 / 작성 가이드라인 도출
      (연구진, 기획예산담당관 업무협의)
  • 부서 공무원대상 설명회

    2017.9.14

    • 이행계획 작성 부서 담당자 관련 교육 실시
  • 이행계획(안) 작성

    2017.10.11

    • 세부사업, 성과지표, 추진계획 등 작성(소관 국과)
  • 검토 의견작성

    2017.10.18

    • 거버넌스를 통한 공유 및 보완사항 도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의견수렴)
  • 이행계획(안) 검토

    (2017.11)

    • 지속가능발전협의회(정책위) 의견수렴 연석회의
    • 민관합동 워크숍 (11.13)
  • 이행계획(안) 마련

    (2017.11)

    • 지속가능발전협의회 및 시장 보고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추진체계 운영 매뉴얼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속가능발전가치, 지속가능발전 가치 확산, 외부시민사회, 요구수렴, 결과소통, 지속가능발전 지표 진단, 진단결과, 지속가능 발전 이행계획 수정보완, 참여유도, 요구수렴, 부서의 정책 집행
  • 담당부서 : 지속가능발전팀
  • 담당자 : 윤예은
  • 연락처 : 041-350-3071
  • 최종수정일 : 2022-12-20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