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과 물류의 연결 (Port + Distribution)
천혜의 자연조건과 풍부한 성장 잠재력을 통해
국내 5대항만으로 도약
전국 최고의 물동량 증가로 국내 5대항만 진입
- 2012년
5,250만톤 - 2013년
5,683만톤 - 2014년
6,579만톤 - 2015년
6,535만톤 - 2016년
6,715만톤 - 2017년
6,793만톤 - 2018년
6,504만톤 - 2019년
6,649만톤 - 2020년
6,265만톤 - 2021년
6,017만톤
- 2010년 급격한 물동량의 증가로 국내 5대항만 진입
- 최근 3년간 물동량이 약 2.5배 증가하여 연평균 47%의 증가율 기록
대중국 최단거리이며 수도권에 인접하고 접근교통망 편리
- 단동항 454㎞, 대련항 482㎞, 청도항 593㎞ 등 대중국 최단거리
- 반경 100㎞이내 서울, 경기도, 충청남도, 세종시 등 전체 인구의 50% 배후 소비시장 형성
- 고속도로와 공항 등 체계적인 교통망으로 접근성 용이
항만시설 확충으로 종합무역항으로 도약
- 기존의 철강위주의 항만개발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화물처리기반 마련
- 잡화, 양곡, 시멘트, 액체 등 다양한 화물처리로 종합무역항 기능발휘
- 인근에 컨테이너부두와 여객부두(국제항로 개설)가 위치하여 이용 편리
천혜의 입지조건으로 화물의 적기 수송
- 육지로 둘러싸인 아산만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태풍이나 해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기상악화로 인한 화물수송 지연빈도 낮음
- 당진항의 폭풍일수 6.8일, 안개발생일수 26.3일로 타 항의 절반수준
- 입출항 항로 및 부두의 수심이 깊어 대형선박 전천후 입출항이 가능
- 입출항 선박의 대기시간이 짧아 화물운송비 절감은 물론 적기 운송가능
철강클러스터의 구축으로 관련산업 입지혜택
- 현대제철, 동부제철, 동국제강, 하이스코, 세아제강, 환영철강, 휴스틸 등 국내 유수의 철강업체가 밀집하여 관련 산업 입지 용이
중·소규모 화주들을 위한 부두사용 편의 제공
- 공용부두 2선석 운영 중이며 (5만톤급, 3만톤급 각 1선석) 송산지구 2선석 추가 개발예정
- 최신 시설의 하역장비로 하역시간 단축 및 맞춤식 하역서비스 제공
- 담당부서 : 항만정책팀
- 담당자 : 김건우
- 연락처 : 041-350-4263
- 최종수정일 : 2022-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