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여성친화정책 필수 & 플러스
- 성별, 연령별, 계층별 정책 수혜자를 고려했는가?
- 성별분리통계로 보도자료 제시가 가능한가?
- 홍보물 제작시 성역할 고정관념은 있는가?
- 전년도 사업에서 남녀 수혜 격차(인원, 예산 등) 발생여부는 점검하였는가?
- 책추진과정에서 여성비율, 여성의견, 여성관점(사회적약자계층) 등은 충분히 반영하였는가?
- 여성친화도시로서 교차를 통해 본 사업의 질적 향상, 긍정적인 점을 고려하였는가?
- 해당 사업에 대해 여성친화도시, 성인지정책 사업으로 사전, 집행, 사후에 대해 자문, 컨설팅, 모니터링 등을 교차하였는가?
성별영향평가
사전에 성차별 방지를 위해 행정 내부 시스템으로 점검을 하는 방식
성별분리통계
풍부한 데이터를 구축, 성별, 연령별, 계층별, 지역별 통계를 생산하면
성인지 예산
성과목표와 예산의 기울어짐을 보완하면서 적절한 예산을 다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여성친화도시
부서의 핵심사업에 대해 전략, 목표를 세울 때 성평등을 고려하고, 실제 추진사업이 여성의 삶을 둘러싼 돌봄, 안전, 경제사회참여 등 여건이 나아지고, 체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면
여성친화도시공간 조성 가이드라인 다운로드
다운로드